-
[ 목차 ]
미국 대선을 앞둔 하루 전
중국에서는 굉장히 큰 일이 발생했습니다.
바로 상하이 증권 거래소에서
세계 최대의 IPO라고 불렸던
앤트 파이낸셜(Ant Group)의
커촹반(Star Board)상장을
중단시켜버린 것인데요,
앤트파이낸셜은
세계 최고의 유니콘기업으로
여겨졌을만큼
2020년 11월 5일에
성공적으로 상장이 이루어졌다면
엄청난 자본금을 끌어들였을 것입니다.
그런데 상장을 하루 앞두고
왜 중국 당국은
앤트그룹의 상장을 중단시켰을까요?
하나씩 그 원인을 찬찬히 분석해보겠습니다.
먼저, 어려우실 수도 있을 것 같은
생소한 용어를 설명해 가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커촹반(Star Market)란?
2019년 1월 12일 개장한
커촹반(Star Market, 스타마켓)은
'중국의 나스닥'으로 불리며
미국 상장이 어려울 것 같은
중국 대기업이나 기술 기업이 대거 상장하면서
1년 새 엄청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과감한 제도 개혁으로 기준을 완화하고
IPO를 허가제가 아닌 등록제로 해서
적자 기업도 상장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창업주에게 차등 의결권도 주고
상장 5거래일간 상하한폭 제한도 두지 않는 등
각종 규제의 문턱을 낮춘 시장으로
유명세를 떨쳤습니다.
단, 당국의 상장 승인을 받지 않는 대신
상장폐지조건을 강화하는 것으로
중국 자본시장에 일대 혁신을 불러 일으켰다는
평가를 현재 받고 있죠.
2) 상하이 거래소가 앤트파이낸셜의
상장을 막은 이유는?
상하이 거래소의 공식적인 입장은
성명을 통해 알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이유로는
변화하는 규제 환경에서
앤트그룹(Ant)이 상장 자격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투자자들을 보호하겠다는 것을
중단의 가장 큰 명분으로 내걸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투자 환경이 변한 것은 없었죠.
단지 새로운 규제에 대해서
논의 중이었을 뿐이었으며,
이번 사태를 통해 커촹반의 최대 장점인
IPO 등록제란 말이 무색하게 되어버렸습니다.
온라인 상에서 중국 네티즌들은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는 여론으로 들끓고 있으며,
중국 시장을 바라보는 세계의 시선도
곱지많은 않아 보입니다.
이렇게까지 비판을 감수하면서까지 중단을 한
실질적인 이유가 있지 않을까 해서
많은 분들이 추측을 하는데요, 다음을 보시죠.
3) 좀 더 실질적인 이유가 있을까?
지난 달 중국에서 가장 부자인 마윈(미국이름 : 잭마)!!!
그는 지난 달 10월 24일
왕치산 부주석과
중국 인민은행장인 이강을 비롯해
중국의 내로라 하는
금융전문가와 관리들이 자리한
상하이 금융포럼에서 소신있는 발언을 합니다.
마윈(잭마)은
한 민영기업인이자 평범한 일반인으로서
한 마디 하겠다고 운을 띄우면서
바젤3를 통해 규제하려 하는 중국 당국에 대해서
비유를 들어 비판합니다.
바젤3는
바젤1, 바젤2에 이어
바젤 은행 감독 위원회(BCBS)에서
금융위기 재발을 막기 위해 내놓은
은행자본 건전화 방안의 개혁안으로서
바젤 어워드(Basel Accords)의
연속된 시리즈 규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윈은 선진국에 의해 진행된는
글로벌 은행 바젤 어워드는
노인들의 클럽에서 만든 규제라고
비유를 들면서
이제 시작하는 신생기업이 많은 중국은
규제를 완화해야지 규제를 강화하면 할수록
스타트업들이 크지를 못한다는 것이
마윈(잭마)의 주요한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규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카카오 뱅크와 같이
소비자 대출의 규제 장벽이 낮아서
개인 소액 대출의 중매업자로써
유명세를 떨쳤던 앤트파이낸셜은
매력을 잃게 되며
대출금의 30%까지 대차대조표에
반영하도록 요청받을 것으로 보여
자신의 앤트그룹의 미래 발전을 위해
소신 발언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이러한 그의 소신 발언들이
부메랑이 되어서 돌아온 것일까요?
아직까지 중단을 철회한다는
중국 당국의 공식 발표는 없으나
개인적인 사업을 통해
수십억 달러를 번 성공한 사업가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소신있게 발언한 것에
오히려 귀를 기울이는 것도
앞으로 금융개혁과 디지털 위안화를 꿈꾸는
중국의 미래에
더욱 발전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국제 금융에서 은행 자본의
질적인 안정화를 추구하는 세계적 흐름에도
함께 발맞추어 나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동시에 드는군요.
참 서로의 입장에서 보면 이해가 되지만
극단적인 선택을 해버린
중국당국의 앞으로의 처신과
앤트그룹의 상장여부 소식이 궁금해집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구독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안녕~^^
[참 고]
.Bloomberg(2020.11.03.). Jack Ma's Blunt Words Just Cost Him $35 Billion. Retrieved from www.msn.com/en-us/money/news/jack-mas-blunt-words-just-cost-him-dollar35-billion/ar-BB1aEIR8
.아주경제(2020.07.22.). '중국판 나스닥' 커촹반 출범 1년...."기술주 상장 메카". Retrieved from www.ajunews.com/view/20200722095808684
.위키백과(2020.04.25.). 바젤 III. Retrieved from ko.wikipedia.org/wiki/%EB%B0%94%EC%A0%A4_III
.위키백과(2020.10.22.). 유니콘 기업. Retrieved from ko.wikipedia.org/wiki/%EC%9C%A0%EB%8B%88%EC%BD%98_%EA%B8%B0%EC%9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