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오늘도 에너지원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6가지 중
나머지에 대해서 차차 살펴보고,
우리나라 기업들은
왜 RE100에 가입하기 힘들었는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RE100... 신재생에너지 100%!! 우리나라에서 과연 현실성 있을까? [1부]
우리는 현재 그린 뉴딜의 화두 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최근 문재인 대통령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20.10.28.)하였으며, 환경부 보도 자료(20.07.16.)에 따르면, 기업 활동에 필요한 전력을 10
menonatrain-20200711.tistory.com
RE100 우리도 적극 참가해야 하나? 에너지원 선택시 고려해야 할 6가지 [1부]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RE100은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았고, 우리나라에서는 최초이자 유일하게 SK그룹 8개 계열사들이 RE100에 참가한 사실 등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래에 지난 포스팅을 참
menonatrain-20200711.tistory.com
그럼 한 번 시작해볼까요?
4) 하루 동안 에너지를 적절히
조달하는데 드는 비용
전기를 만드는데도 분명 에너지가 듭니다.
그래서 전기의 공급과 수요 사이에서
가장 경제성이 높은 접점이 어디인지 아는 것은
굉장히 중요합니다.
보통 낮과 밤 동안 언제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할까요?
네, 맞습니다. 낮이죠.
낮에는 공장을 돌리기 위해서 많은 산업전력이
필요하므로 수요가 항상 공급보다 많습니다.
그러나, 밤에는 수요가 사라져서
오히려 전력을 많이 공급하는 것이
손해가 되죠.
그래서 하루에 각각의 시간대마다
전력을 적정하게 공급하는 방법론들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런 하루하루가 모여서 월별통계를
보아도 마찬가지겠죠?
우리나라에서 발전형식별로 에너지 공급을
살펴보았을 때 아직도 여전히
80% 이상을 원자력, 기력, 복합화력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아래 그림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국가 전력망에서는 아무리 전기를 안 써도
'이 이상은 반드시 쓴다' 라고 하는
기본적인 펀더멘털 값이 있는데요,
이러한 에너지들을 기저전력이라고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루에 제공하는 가장 기초적인
전력의 기본 펀더멘털 값 대부분을
원자력과 석탄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껐다 켰다 하기 힘들어 한 번 돌리면
계속 전력이 공급되는 원자력과
값싼 재료를 이용한 석탄 발전이
가장 싸고 경제성이 우수하기 때문입니다.
태양광과 풍력은 일정한 전력을
공급해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낮밤 구분없이 그리고,
바람이 불때와 불지 않을 때를 상관하지 않고,
꾸준하게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주지 못하고
ESS와 같은 추가적인 저장장치를 사용해야 되므로
공급 비용이 많이 드는 비싼 전력이기에
기저전력이 되기에는 한계점이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원자력과 석탄이 기저전력으로
기본적인 전력 수요를 감당하고,
여름의 어느 날과 같이
낮기온이 굉장히 올라가서
에어컨 사용량이 급격하게 늘 것 같은
판단이 들 때는
추가적으로 일일 피크치에 대응해서
비싼 에너지인 LNG를 사용하거나 수력발전 등으로
보충을 해주는 시스템으로 진화하게 됩니다.
위의 그림에서 소개된 에너지원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전원 | 에너지원 |
수력(Hydro) | 일반, 양수, 소수력 |
기력(Steam) | 무연탄, 유연탄, 중유, LNG (열에너지->증기로 터빈) |
복합화력 (Combined cycle) |
LNG, 유류(Oil) |
내연력 (Internal Combustion) |
열에너지->연소 후 가스로 터빈 |
원자력 (Nuclear) |
가압경수로, 가압 중수로, 비등경수로 등 |
집단 에너지 (Group Energy) |
열병합발전, 소각로 (열과 전기 동시 생산) |
신재생 에너지 (New&Renewable energy) |
신 에너지(석탄액화가스, 연료전지, 수소) 재생 에너지(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지열, 해양, 폐기물) |
기타 (Others) |
. |
즉, 국가의 필요한 전력은
하나의 에너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해서
RE 100과 같이 태양광이나 풍력에만 의존해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원자력, 석유, 석탄, LNG, 신재생에너지를
골고루 쓸 수 밖에 없던 것입니다.
하루에 가장 저렴하게 에너지 수급을 맞출 수 있는
방법이 진화되어서
나름의 에너지 생태가 만들어지게 된 것이죠.
이것이 우리나라 기업들이 현재
RE 100에 적극적으로 가입하기 힘든 이유입니다.
'바보야~ 문제는 환경이 아니라 경제야'
라고 우리에게 말해주는 듯 합니다.
-------------------------------------------------------
여기까지만 보면
원자력이 가장 좋은 전력공급원인 것처럼 들립니다.
하지만 이것도 간단치많은 않은데요.
이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오늘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댓글, 구독 부탁드리며
다음에 뵐께요~ 안녕^^
'환경 > 에너지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100 우리도 적극 참가해야 하나? 에너지원 선택시 고려해야 할 6가지 [1부] (0) | 2020.11.18 |
---|---|
RE100... 신재생에너지 100%!! 우리나라에서 과연 현실성 있을까? (0) |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