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환경/환경화학8

당량과 당량수는 화학반응을 통해 결정된다 당량의 개념은 3가지로 나뉘고, 그 중 원소의 당량은 원자량을 원자가로 나눈 상대적인 질량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2021.04.02 - [환경] - 당량의 개념(기초부터, 산소의 당량부터) 그렇다면 당량수는 무슨 개념인가? 당량수는 '수'이다. 즉, 개수이다. 당량이 화학반응에서 전자 1mol이 이동할 때의 원자나 화합물의 질량 개념이라면, 당량수는 예를 들어, 화학반응에서 원자나 화합물이 전자 1mol의 질량(=당량)에 해당하는 mol수를 주고 받을때 1당량수(1eq)를 주고받았다고 한다. 즉, 전자 mol에 해당하는 물질의 몰 수의 개념이다. 예를 들어, 산소(O) 원소의 당량은 16/2 = 8이다. 즉, 8의 단위는 없지만 탄소 12를 원자량으로 했을 때의 상대적인 질량이 8 정도라는 것이다. 이.. 2021. 4. 5.
당량의 개념(기초부터, 산소의 당량부터) 당량은 영어로 equivalent weight 이다. 즉, 당량의 '량'은 'weight'인 '질량이다. 당량은 질량의 개념인 것이다. 당량은 화학에서 아래의 3가지로 사용된다. 1) 원소의 당량 2) 산, 염기의 당량 3) 산화제, 환원제의 당량 이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원소의 당량부터 알아보자. 원소의 당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아이고, 갈수록 태산이다. 원자량은 무엇이고, 원자가는 무엇인가? 속성으로 한 번 알아보자. 원자량은 탄소의 원자량을 12로 했을 때 다른 원자들의 상대적인 질량의 개념이라 보면 된다. 상대적이므로 단위는 없다. ex) C의 원자량 = 12 H의 원자량 = 1 O의 원자량 = 16 N의 원자량 = 14 원자가는 조금 생소할 수도 있는데 원소의 화학적 특성으로 '반응을 할 수.. 2021. 4. 2.
반응형

/*이미지를 포함하는 a 태그는 블록 스타일 제거 */ .contents_style a:has(img) { all: unset, /*모든 스타일 제거*/ display: inline-block; /* 인라인 블록으로 설정*/ padding: 0; margin: 0; background: none; border: none; box-shadow: none; } /* 이미지를 포함하는 a 태그 마우스 커서 반영*/ .contents_style a img { all: unset; display: inline-block; cursor: poin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