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ith & Scharmann(1999)은
과학적인 주장과 비과학적인 주장의 특징을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이를 통해 과학적인 것과 비과학의 차이는
무엇인지 감을 잡으실 수 있으실 거에요.
1) 과학적인 주장 특징
·과학은 경험적이다
·과학적인 주장은 반증 가능하다
·과학적인 실험이나 관찰은 재현 가능하다
·과학은 잠정적이다
·과학은 자기 수정적이다
·과학은 설명력이 가장 큰 이론을 높이 평가한다
·과학은 예측력을 중요시한다
·과학은 확장 가능성을 중요시한다.
·과학은 개방성을 중요시한다.
·과학은 간결성을 중요시한다.
·과학은 논리적 일관성을 요구한다.
·과학자들은 회의(skepticism)를 중요시한다.
2) 비과학적(유사과학적인)인 주장 특징
·주장의 근거가 종교적 입장으로 귀착된다
(과학과 종교는 별개의 문제)
·증거보다 권위를 중시한다
·이유보다 신념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다
(신념이란 특별히 뒷받침되는 증거가 없는 믿음)
3) 과학과 유사과학(비과학)을 구분하는
10가지 기준
Shermer(2005)는
과학과 비과학을 다음의 10가지 기준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했어요.
① 주장하는 사람이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가?
② 같은 사람이 비슷한 주장을 자주 하는가?
③ 다른 사람이 그 주장을 입증한 적이 있는가?
④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와 맞아 들어가고 있는가?
⑤ 그 주장에 대한 지지하는 증거만 찾았는가
아니면 반박 시도가 있었는가?
⑥ 증거가 그 주장의 결론에 수렴하는가
아니면 다른 결론에 수렴하는가?
⑦ 공인된 추론 규칙과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가
아니면 다른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수단을
사용하는가?
⑧ 주장하는 사람이 기존 설명에 대한 반박만 하는가
아니면 대안을 제시하는가?
⑨ 그 주장이 이전 설명보다 더 많은 현상을 포함하는가?
⑩ 결론에 주장하는 사람의 사적인 편견과 믿음이
개입되지 않았는가?
비과학이나 유사과학은 항상 존재하며
과학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사람들에게 퍼지죠?
그렇다고 모든 과학 분야를 공부할 수도 없고...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법률적으로나 제도적으로
제재를 가하기도 쉽지 않아요.
합리적으로 의심할 줄 아는 시민들을 양성하는
과학적인 지식과 방법에 기초를 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이는 과학이 사회와 상호 작용하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는 좋은 선례가 될거에요.
'환경 > 환경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말지시약(=전분지시약) 제조법 (0) | 2021.05.02 |
---|---|
유리 필터라 불리는 유리 섬유 여과지!! GF/C와 GF/F 차이점이 뭔가요? (0) | 2021.05.02 |
화학물질의 NFPA 704 확인하는 방법 (0) | 2021.04.07 |
황산, 농황산의 처리(중화) (0) | 2021.04.05 |
중화해서 처리하면 안 되는 산!! 발연질산과 발연황산 (0) | 2021.04.05 |